조선의 정궁 경복궁


경복궁

조선 500년 역사의 문을 여는 최초의 궁궐로, 한양을 도읍으로 삼은 이성계가 조선 건국 3년 만에 지은 궁궐입니다.

풍수지리 좋은 곳으로 알려진 곳에 지어진 이 궁은 조선시대 크고 작은 사건들을 목격했고 임진왜란 때 불에 타는 고통을 겪었다.

그 후 1867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여 오늘날에도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건물이 경복궁 앞을 가로막았고, 일제에 의해 여러 건물이 파괴되었다.

다행히 지금은 홀이 조금씩 복원되어 예전 모습을 되찾고 있습니다.


광화문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은 남문이다.

광화문 양쪽의 긴 담장은 육조 옛길을 향해 두 팔을 벌리고 있는 듯, 모두를 따뜻하게 안아주려는 조선의 왕들의 모습을 닮았다.

처음에는 사정문이라 하였으나 세종 때 광화문으로 개명하였다.

광화문 앞 좌우에는 궁궐의 화재를 예방하고 공평과 정의를 상징하는 상상의 동물 해치의 동상이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건춘문으로 옮겨졌다가 6*25전쟁 때 폭격과 피해를 입었다.


근정전

근정전은 주요 국가의 행사와 행사가 열렸던 대웅전이다.

경복궁의 으뜸가는 건물로 2층 월대에 2층 지붕을 얹어 지어 궁궐의 웅장함을 보여주고 있다.

곡선의 아름다움은 양쪽 끝의 약간 올라간 처마에서 느낄 수 있으며, 이곳에서 왕의 즉위식과 시험 등 각종 행사가 열렸으며 외국 사신을 접견하기도 했습니다.

뜰에는 신분을 나타내는 계급석이 있고, 신하들은 서열에 따라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줄을 섰고, 왕은 높은 상월대에 앉아 모든 신하들을 한눈에 내려다보았다.


사정하기 전에

근정전 뒤편에 위치한 사정전은 국왕이 국사를 관장하는 곳이다.

“피벗”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에서 왕은 신하들의 호소를 읽고 국가와 백성을 위한 정책의 초안을 작성했습니다.

또한 사정전 바로 앞에서 왕이 죄인들을 심문하고 호통을 치는 것을 친국이라 한다.

사정전의 동서에는 만춘전과 천추전이 있고 두 홀 모두 온돌방식으로 되어 있어 추운 겨울에 사정전 대신 편전으로 사용되었다.


강녕전

강녕전은 왕이 주무시거나 일상생활을 하던 곳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잠을 자는 곳인 “정착지”라고 불립니다.

특이하게도 지붕에 능선이 없어 멀리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용은 왕을 상징하므로 왕이 용 밑에서 잠을 잘 수 없어 빗을 만들지 않았다고 한다.

강년전이라는 이름은 왕의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만족스럽다는 뜻입니다.

강녕전 앞에는 왕실의 유품을 보관하는 내탕고가 있다.


바람둥이

이곳에서 왕비는 궁궐에서 살며 살림을 꾸렸습니다.

뒤쪽에는 왕비가 거닐던 정원이 있는데, 경회루가 발굴한 흙을 쌓아 정원을 만들어 ‘아미산’이라 이름 붙였다.

특히 뒤뜰의 계단식 화단과 굴뚝이 너무 아름다워 궁궐에만 있어야 하는 왕비에게는 최고의 휴식처였다.


개정 전

수정전은 옛 지현전 터에 새로 지은 건물이다.

이 지역은 궁궐의 각종 사무를 관장하는 관공서들이 모여 있던 곳으로 왕을 긴밀히 보좌하는 행정조직과 궁궐을 지키는 군부대가 있었다.

국왕이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설립한 연구소도 있었다.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할 때 수정전 주변에 여러 관청이 복원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모두 철거되어 수정전만 남았다.

1894년 한국 최초의 근대적 개혁인 갑오개혁이 일어났다.

갑오개혁은 일본의 개입으로 이루어졌고,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일본은 보위부라는 관청을 신설했다.

당시 수정전은 군비서관 건물로 사용됐다.


경회루

그것은 큰 연못 위에 있습니다.

왕이 휴식을 취하거나 신하들과 잔치를 벌이던 곳이기도 하고 때로는 다른 나라의 사신을 접견하던 곳이기도 하다.

경회루는 가슴 아픈 사건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어린 임금이었던 단종이 아버지인 수양대군에게 인장을 바쳤던 곳이기도 하고, 연산군이 나라사에 신경 쓰지 않고 춤추고 마시고 놀던 곳이기도 하다.

기녀들과 광대들과 격렬하게. 고종 때 경회루를 중건할 때 화재를 막기 위해 두 마리의 청동용을 연못에 넣었는데, 그중 한 마리는 1977년에 발견되었다고 한다.


겨울 궁전

왕의 뒤를 잇는 왕자를 “왕세자”라고 합니다.

왕세자는 아침에 떠오르는 태양과 같습니다.

세자가 머무는 곳을 동궁이라 하는데 해가 뜨는 곳과 같은 뜻이다.

경복궁을 지을 당시에는 동궁이 없었다.

그러다가 세종 때 만들었다.

이곳에 머무는 동안 왕세자는 왕이 되기 위해 공부하고 준비했습니다.

동궁에는 왕세자와 왕비가 살던 자성강과 왕세자가 공부하던 비현각이 있다.

동궁은 왕의 곁인 사정전 옆에 있습니다.

나는 왕이 어떻게 땅을 다스리는지를 직접 보고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향원정

향원지라는 연못 한가운데에 향원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연못 남쪽에 있는 향원정은 원래 건청궁을 향하여 북쪽으로 세웠으나 6*25전쟁 때 소실되고 재건되었다.

향원지 연못은 네모지고 향원정이 있는 섬은 둥글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서 ‘천원권’의 사상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향원정은 ‘향기가 멀리까지 닿는다’는 뜻이다.


건총궁

향원지 북쪽에 위치한 건청궁은 1873년 고종이 세웠다.

그해 고종 흥선대원군이 직접 나라를 다스리겠다고 선언하고 정계에서 물러났고, 고종과 명성황후가 건청궁에 머물렀던 이유는 10대 황제인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건청궁에는 왕의 거처인 장안당과 왕비의 거처인 곤녕합, 서재인 관문각이 있습니다.

1896년 2월 을미사변 이후 건청궁에 머물던 고종은 세자와 함께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했다.

이 사건을 “아관 파천”이라고 합니다.

경복궁 페이지

: 영업시간 및 요금, 야간개장, 해설 안내 등

경복궁 문학하재청 https://www.royalpalac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