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멘토링 주제 3

디자인 멘토링 주제 3

체리 수머

체리 수머

건포도 피커 + 소비자

인플레이션 등 경기 침체와 유연한 소비를 추구하는 1인 가구의 증가로 ‘체리슈머’ 같은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한정된 자원 중에서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난 제품을 선택하여 아껴서 소비하는 전략적 소비자를 의미합니다.

다소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체리피커와 달리 체리슈머는 소비자가 누릴 수 있는 혜택의 폭을 넓히고 그 실체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Netflix와 같은 OTT 서비스를 우리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거나 공동구매를 통해 물건을 더 저렴하게 구매하는 것이 Cherrysumer의 등장 사례입니다.

이처럼 한정된 자원 속에서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소비하는 성향을 보이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자 문화라고 볼 수 있다.

소비 지출의 ‘관리’와 ‘편집’을 주도하는 것은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앱과 플랫폼이 등장함에 따라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소비자 선택의 증가입니다.

체리슈머의 3대 소비 전략

1. 산산조각, 조각 전략
이는 소비자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소량만 구매한다는 의미다.

낭비를 줄이고 소량으로 구매함으로써 합리적인 소비로 이어집니다.

일본에서는 집마저 산산조각 내는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했다.

가구와 가전제품을 갖춘 11평 정도의 월세는 200만원 정도다.

저렴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방의 특별한 비밀은 ‘외박’하면 월세를 깎아준다는 점이다.

세입자가 밤을 미리 지켜보면 빈 방은 당일 일반인에게 숙소로 임대되고 일부는 주민들에게 수익으로 돌려준다.

최대 15일 동안 외부에 머무를 수 있습니다.

2. 동거, 반반 전략
능동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비용과 편익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을 직접 찾는다.

소분 거래는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처리되며 단순한 저축을 넘어 재미와 성취감을 주는 게임 역할을 합니다.

우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끼리도 스터디카페 1인 이용권은 규정에 따라 공유가 금지된 물건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 대해 다양한 비판과 대책이 마련되고 있지만 실용 소비 과열이 빚어낸 촌극이라고 할 수 있다.

3. 라이브 유연, 말랑 전략
유연하고 유연한 계약을 통해 전략적으로 지출할 수 있으므로 지출의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숙박업체가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환불 또는 취소 정책을 도입한다면 추가적인 부담 대신 계약상의 재량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것이 매우 합리적으로 보인다.

이번 세미나는 체리슈머들이 이러한 소비자 특성을 가지고 추구할 건축 공간과 이들이 어떤 일상 공간에 어울릴 것인지에 대한 대화로 시작되었다.

하나.


경기 악화와 함께 생활비도 월평균 소득보다 3~4배 빠르게 올랐다.

생활비가 가장 많이 증가한 분야는 주택, 수도, 공공소비재로 19.5%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임대가구의 30% 이상이 월 소득의 20~30%를 초과하는 주거비를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체리슈머에게 적합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영역은 어디일까요?


아뜰리에의 주방과 세탁실 부분을 공용 주방이나 코인 세탁실을 사용할 수 있는 공용 공간으로 합치면 더 다양한 공간 활용의 가능성이 열릴 것 같다.

1인 가구에 거주하는 체리슈머 중 집에서 요리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빨래 건조가 쉽지 않아 코인세탁을 자주 이용한다.

변경할 수 있는 또 다른 부분은 책상 옆 서재나 책장입니다.

공간이 협소하다 보니 많은 책을 보관하기 어려운 1인 가구의 휴게실인 커뮤니티 도서관과 같은 곳이 많다.

다음으로 공유가 가능한 영역은 어디일까 침대, 욕실, 옷장 등을 공유하는 것조차 어렵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옷장의 경우 계절별 옷을 집에서 전문 옷가게에 보관하거나 살균 배송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많기 때문에 기존에 필요했던 옷장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

물론 부분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공유한다는 개념의 서비스도 많다.

우리가 이미 많이 알고 있는 에어비앤비 뿐만 아니라 아워플레이스 같은 공간대여 서비스도 있습니다.


위 스튜디오의 다양한 서비스로 인한 공간 활용의 다양화 측면에서 영화와도 같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우리가 드라마나 영화를 볼 때 빨리감기로 콘텐츠를 소비하듯이 주거도 결국 ‘살다’가 아닌 ‘소비’의 개념으로 바뀌는 것 같다.